경제PICK 조태현입니다. <br /> <br />이슈가 된 키워드로 경제를 쉽고 재미있게 전해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의 키워드는 '비트코인'입니다. <br /> <br />한동안 잠잠하더니 다시 언론에 등장하기 시작했죠. <br /> <br />다시 이름이 보인다는 건 가격이 크게 변하고 있는 뜻이겠죠? <br /> <br />비트코인 가격을 한 번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열풍이 불기 전 비트코인 가격은 한 개에 백만 원 이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다가 2017년 대유행과 맞물려 가격이 급격하게 오르다, 2018년 말에 거품이 확 꺼졌는데요, <br /> <br />최근 무섭게 가격이 오르면서 다시 2천만 원 선을 돌파했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사태 극복을 위해 풀린 자금이 들어온 영향이라는 점을 고려해도, 다른 금융상품에선 전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가격 변화가 큽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등락 폭이 심한 시장을 변동성이 크다고 표현하죠. <br /> <br />그러면 왜 비트코인 가격은 이렇게 급변하는 걸까요? <br /> <br />이걸 알려면 일단 비트코인이란 무엇인가를 알아야겠죠. <br /> <br />흔히 비트코인 같은 화폐를 가상화폐라고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, <br /> <br />사이버 세상에서의 거래를 안전하게 하려고 암호화 기술을 사용한 전자화폐를 말합니다. <br /> <br />사실 이런 특성 때문에 암호화폐라는 말이 더 널리 쓰이긴 합니다. <br /> <br />비트코인은 최초의 암호화폐로, 여전히 암호화폐 시장의 대표 주자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나카모토 사토시라는 사람이 만들었는데요, <br /> <br />정체를 알 수 없는 이 인물은 비트코인을 구상한 최초의 논문에서 송금과 지급 결제 등 실거래를 목적으로 고안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서 하나 짚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는 원하는 물품을 얻기 위해 물건과 물건을 서로 맞바꾸는 물물교환이라는 수단을 활용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적절한 교환 비율을 정하는 건 대단히 어려운 일입니다. <br /> <br />예를 하나 들어보죠. <br /> <br />제가 지금 농사를 지어서 수확한 맛 좋은 쌀 1㎏을 가지고 있고, 이걸 바꿔서 제 아들이 좋아하는 상어 인형을 구하려 한다고 가정해보죠. <br /> <br />대체 쌀 1㎏이 상어 인형 몇 개의 가치를 갖는지를 어떻게 정해야 할까요? <br /> <br />쉽지 않겠죠. <br /> <br />여기에서 등장하는 게 화폐입니다. <br /> <br />일종의 표준 단위를 만들어 물물교환을 쉽게 하는 수단이 되는 거죠. <br /> <br />이 단위가 급변동한다면, 경제 활동에 대혼란이 생기겠죠? <br /> <br />따라서 각 국가의 중앙은행은 돈의 가치가 급변하지 않도록 하는 정책적 노력을 벌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서 암호화폐가 가진 화폐로서의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1204131543553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